분류 전체보기151 쉽게 풀어쓴 C 언어 EXPRESS 개정 3판 챕터6. 조건문 제어문제어문제어문(control statement)- 문장들이 실행되는 순서를 제어하는 문장- 제어문은 조건문과 반복문으로 나누어진다 3가지의 제어 구조순차구조(sequence)- 명령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구조 선택구조(selection)- 둘 중의 하나의 명령을 선택하여 실행되는 구조 반복구조(iteration)- 동일한 명령이 반복되면서 실행되는 구조if문if문if문- if문에서는 조건을 수식으로 표현하고, 그 수식을 바로 '조건식'이라고 한다- if문은 주어진 조건식을 계산하여 그 결과값이 참이면 문장을 실행한다. 조건식이 거짓으로 계산되면 문장은 실행되지 않는다if(number>0) printf("양수입니다\n")- 일반적으로 조건식에는 연산의 결과값이 참이나 거짓으로 생성되는 수식을 사용된다.. 2025. 7. 4. 쉽게 풀어쓴 C 언어 EXPRESS 개정 3판 챕터5. 수식과 연산자 수식과 연산자수식수식(expression)- 피연산자들과 연산자의 조합- 값을 비교하는 관계 연산저, 논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논리 연산자 - 가장 간단한 수식은 하나의 상수나 변수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- 복합 수식은 단순한 수식들이 연산자로 연결된 것이다 - 모든 수식은 값을 갖는다- 단순 수식의 경우, 수식의 값은 상수나 변수의 값이 된다- 복합 수식의 값은 연산자들의 연산 결과가 된 연산자(operator)- 어떤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피연산자(operand)- 연산의 대상이 되는 것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- 기본적인 산술 연산인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, 나머지 연산을 실행하는 연산자이다- 컴퓨터에서는 정수 계산과 실수 계산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를 사용한다- 정수끼리 나눗셈을 하.. 2025. 7. 4. 쉽게 풀어쓴 C 언어 EXPRESS 개정 3판 챕터4. 변수의 자료형 변수와 상수변수란 무엇인가?변수(variable)- 변할 수 있는 값을 나타내는 기호- 컴퓨터 프로그램은 값을 저장하기 위해 변수를 사용한다- 변수는 메인 메모리(main memory)에 만들어진다- 프로그램 안에서 변수를 만들고 변수에 이름을 부여한 후에, 변수 이름을 사용하여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게 된다- 한 번 값이 저장되었어도 언제든지 다시 다른 값으로 변경이 가능하다변수가 왜 필요한가?사용자에게서 받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이다프로그램 코드에 직접 값을 넣는 것보다 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프로그램을 유연하게 만든다 변수와 상수상수(constant)- 값이 한번 정해지면 변경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들- 상수도 메모리에 저장된다-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자료형이 있다- 상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.. 2025. 5. 11. 쉽게 풀어쓴 C 언어 EXPRESS 개정 3판 챕터3. C 프로그램 구성요소 "덧셈" 프로그램 #1일반적인 프로그램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서(입력단계), 데이터를 처리한 후에(처리단계), 결과를 화면에 출력(출력단계)한다.데이터 입력 -> 데이터 처리-> 결과출력 주석주석이란?주석 (comment)- /*와 */로 묶어진 부분- 프로그램이 하는 일을 설명하는 설명글로서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- 프로그램을 읽는 사람을 위한 것이다- 프로그램의 가독성을 높인다- 보통 프로그램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해주는 문장들이 들어간다/* 두 수를 더하는 프로그램 */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{ return 0;} 주석을 붙이는 방법- 이중 슬래시(//)는 현재 위치에서부터 줄의 끝까지가 주석이라는 것을 나타낸다- 주의할 점은 주.. 2025. 5. 10. 이전 1 2 3 4 ··· 38 다음